반응형 미술이론12 바로크 Baroque 17세기의 미술과 문화를 가리켜서 '바로크'라고 부른다. 유럽에서 1600년부터 1750년 사이에 유행하였으며 포르투갈어로 '비뚤어진 진주'라는 뜻으로, 르네상스의 단정하고 우아한 고전양식에 비하여 역동적인 형태와 강렬한 색채, 명암의 극단적, 격렬한 대비 등 외향적이고 격동적이며 풍요로운 경향이 보였다.이탈리아의 카라바조가 회화의 창시자로 있었고 그의 영향은 곧 에스파냐와 북유럽으로 퍼져 그 추종자를 '카라바제스키'라 불렀다. 특히 바로크의 중심지가 되었고 루벤스, 렘브란트가 대표적 화가이며 스페인에서는 벨라스케스, 수르바란 등이 활동하였으며 프랑스에서는 니콜라 푸생이 있었다. 바로크는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 충돌은 이 시대를 규정하는 핵심적 성격이며 정치분야의 전제주의와 가톨릭의 반종교개혁 운동과 .. 2024. 10. 18. 로코코 Rococo 로코코 미술은 실제로 아카데미에서 행해지는 고전 고대에 대한 교육을 개혁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화면에서 쾌활한 성향을 강조하고 섬세하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중요시하는 결과를 낳았는데, 대표적인 예로 앙투안 바토의 작품을 들 수 있다.어원은 프랑스어 rocaille(조개 무늬 장식, 자갈)에서 온 로코코는 루이 15세 통치 기간인 18세기 프랑스에서 생겨난 예술형식이며 극단적으로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을 가리킨다. 프랑스뿐 아니라 다른 여러 국가에 오스트리아와 독일이 영향을 많이 받았다.바로크 시대의 취향을 계승 받아 경박함 속에 표현되는 화려한 색채와 섬세한 장식, 건축의 유행 따랐지만 보다 더 가볍고 우아한 경향을 띤다. 또한 쾌락적 소개를 즐겨 다루었으며 종종 관음증에 이르기도 하였.. 2024. 10. 18. 르네상스 Renaissance (1300년대 ~ 1600년대) 르네상스(이탈리아어: Rinascimento, 프랑스어: Renaissance, 영어: Renaissance) 또는 문예 부흥, 학예 부흥은 '재탄생'이라는 의미로, 서양미술과 문화 전반에서 발전이 이루어졌던 한 시대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유럽 문명사에서 14세기부터 16세기 사이 일어난 문예 부흥 또는 문화 혁신 운동을 말한다. 여기서 문예부흥이란 구체적으로 14세기에서 시작하여 16세기말에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 예술 전반에 걸친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명의 재인식과 재수용을 의미한다. 옛 그리스와 로마의 문학, 사상, 예술을 본받아 인간 중심의 정신을 되살리려 하였고 광범위한 철학적 경향을 가리키며 인간의 사회적, 종교적, 정치적 행위를 인간의 이성과 경험에 대한 성찰을 말하고자 하였다. 이 점에서 .. 2024. 10. 1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