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코코 Rococo
본문 바로가기
  • COMMA _ 쉬어가기
comma one/미술이론

로코코 Rococo

by parkha81 2024. 10. 18.
반응형

 

 

<키테라 섬으로의 순례> 앙투안 바토, 1717 _ 동시대의 복장을 하고 있는 연인들은 사랑의 여신 비너스상에 공물을 바치고 집으로 귀가하려 한다. 화면에서는 상신감과 그리움이 베어나오고 있으며 어딘지 모르게 부서질 듯한 섬약한 느낌을 주는데 이는 로코코 미술의 독특한 성격이 들어나다고 볼 수 있다.

 

 

로코코 미술은 실제로 아카데미에서 행해지는 고전 고대에 대한 교육을 개혁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화면에서 쾌활한 성향을 강조하고 섬세하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중요시하는 결과를 낳았는데, 대표적인 예로 앙투안 바토의 작품을 들 수 있다.
어원은 프랑스어 rocaille(조개 무늬 장식, 자갈)에서 온 로코코는 루이 15세 통치 기간인 18세기 프랑스에서 생겨난 예술형식이며 극단적으로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을 가리킨다. 프랑스뿐 아니라 다른 여러 국가에 오스트리아와 독일이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바로크 시대의 취향을 계승 받아 경박함 속에 표현되는 화려한 색채와 섬세한 장식, 건축의 유행 따랐지만 보다 더 가볍고 우아한 경향을 띤다. 또한 쾌락적 소개를 즐겨 다루었으며 종종 관음증에 이르기도 하였다. 또한 형식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로코코는 직선적인 요소가 모자라고 로코코의 전형인 공간은 정교하게 장식되거나 조각을 새긴 구부러진 형태의 가구, 미술 작품들로 가득 찬 사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로코코의 색채는 연푸른 하늘색, 장밋빛의 분홍색 등 감각적인 색채가 자주 등장하였다. 이는 바로크의 격렬한 감정 표현 대신 가볍고 유유자적한 우아함과 재치가 선호되는 색채였다.

로코코는 본래 신고전주의 미술가인 자크 루이 다비드의 한 제자가 경멸조로 만들어낸 단어로서, 루이 15세의 애첩인 퐁파두르 부인을 떠올리며 여성적, 타락, 무능력한 정부, 관능적인 여흥과 동의어가 되었다. 이는 왕실 예술이 아니라 귀족과 부르주아의 예술이었으며, 18세기 프랑스 사회의 귀족계급이 추구하던 사치스럽고 우아한 성격, 유희적이고 변덕스러운 매력을 내면적인 성격을 가진 사교계 예술을 말하는 것이다. 로코코는 화면에서 진지함과 엄숙함을 포기하고 귀족계급의 주거환경을 장식하기 위해 에로티시즘과 감미로움, 즐거움이 추구되었고 개인의 감성적 체험을 표출하는 장식적 소품 위주로 제작되었으며 신와저리(중국풍, 중국화법)가 많이 유행하였다.

 

프라고나르 <그네> 1767년


로코코라는 사조가 서양 예술사에서 전문용어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842년 프랑스 학술원에서 이 낱말의 사용 인정한 것으로 기록되어 1840년대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국한된 의미를 벗어나 예술사를 연구하며 바로크를 이어주는 건축과 서양미술의 한 예술 양식으로 쓰이기 시작하지만 로코코는 바로크나 르네상스처럼 한 시대를 대표하는 사조라고 볼 수 없다. 그 이유는 18세기는 로코코뿐만 아니라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가 병존하며 서로간에 영향을 받고 주는 관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크 고전주의의 거장 푸생의 화풍을 공식화해서 기계적으로 모방하는 관행에 대한 반발인 로코코는 18세기말에 와서 로코코가 쇠퇴하게 되자 진지한 윤리관과 준엄함을 예술적 가치로 내건 신고전주의자들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들은 다시금 푸생을 모범으로 삼았다.

_ 상수시궁은 독일 프로이센 왕국 호엔촐레른가의 여름 궁전이다. 프랑스 문화에 심취한 대왕은 프랑스어로 '근심 없는 궁전'이란 뜻의 상수시궁을 베르사유 궁전을 모방하여 건축 한 것이다. 그러나 실내장식은 당시 유행한 로코코 양식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으며 프랑스 문인들과 사교모임, 연주회를 개최한 것도 이 궁전에서였다.

_ 프랑수아 부셰 1742, 장 시메옹 샤르댕 1725-26,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 1775-80, 앙투안 바토 1717, 프랑수아 르무안 1724

반응형

'comma one > 미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상주의 Impressionism  (1) 2024.10.18
사실주의 Realism  (2) 2024.10.18
낭만주의 Romanticism  (4) 2024.10.18
바로크 Baroque  (1) 2024.10.18
르네상스 Renaissance (1300년대 ~ 1600년대)  (2) 2024.10.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