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의 미술과 문화를 가리켜서 '바로크'라고 부른다. 유럽에서 1600년부터 1750년 사이에 유행하였으며 포르투갈어로 '비뚤어진 진주'라는 뜻으로, 르네상스의 단정하고 우아한 고전양식에 비하여 역동적인 형태와 강렬한 색채, 명암의 극단적, 격렬한 대비 등 외향적이고 격동적이며 풍요로운 경향이 보였다.
이탈리아의 카라바조가 회화의 창시자로 있었고 그의 영향은 곧 에스파냐와 북유럽으로 퍼져 그 추종자를 '카라바제스키'라 불렀다. 특히 바로크의 중심지가 되었고 루벤스, 렘브란트가 대표적 화가이며 스페인에서는 벨라스케스, 수르바란 등이 활동하였으며 프랑스에서는 니콜라 푸생이 있었다. 바로크는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 충돌은 이 시대를 규정하는 핵심적 성격이며 정치분야의 전제주의와 가톨릭의 반종교개혁 운동과 관련된다. 종교화에 있어서는 르네상스 시대에 있었던 프레스코와 궁전 장식, 교회 제단화 등 미술의 주류를 이루었던 마리아 숭배, 성 베드로 숭배, 성인, 순교자 숭배 등의 주제는 단순·명확해지고, 격렬한 감정표현, 주제의 명확을 위해 세부는 생략되는 수가 있다. 또한 정치적 목적이나 종교 분파 간의 분쟁에 이용되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로서, 이 시대의 걸작들 대다수는 정치적 권력과 종교적 정통성을 드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이 시대에 들어와서 일어난 변화 가운데 하나는 이젤화로 그려진 정물화, 풍경화, 풍속화 등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난 점이었다.
이는 일반인들이 집안을 장식할 목적으로 이처럼 새로운 장르의 그림을 많이 찾았다는 증빙이 되기도 하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네덜란드 미술의 황금시대로 이어지고 도시 풍경화, 바다 풍경화, 실내 풍경화, 정물화 등 인기를 누리면서 급성장하였다.
하지만 르네상스 미술과들과 마찬가지로 바로크 미술가들 또한 구성과 회화적 효과의 전체적인 통일성을 중요시했다. 바로크 사조의 성격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모하는 인체, 인간의 감정에 대한 집요한 추구라고 할 수 있다.
르네상스 이후, 사실이 전제되며 자연스러운 아름다운 형체를 이상적으로 창출하는 것이 중세적인 교양 있는 화가의 할 일이라고 생각되었으며 노골적인 사실보다는 이상미에 치우치기 쉬운 화가도 적지 않았다. 이 시대의 고전주의가 그것에 해당되며 이상미는 틀에 박힌 것이 되기 쉽기에 여기에서부터 생기가 없는 아카데미즘이 퍼져간다. 17세기의 이탈리아 회화는 카라바조의 사실주의와 카라치의 아카데미즘을 두 개의 축으로 하여 출발하나 현실성과 감각성의 많고 적음의 여하로 매너리즘 회화와 구분되고 있다.
네덜란드가 17세기 초엽 독립한 이후의 회화도 플랑드르와 네덜란드는 전혀 별도의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궁정과 교회가 지배적인 권력을 잡고 있던 플랑드르에 있어서는 큰 화면의 호화스러운 감각적 세계가 격동하는 바로크 양식을 가지고 표현하는 루벤스에게 매우 적합한 것이었다. 루벤스의 출현은 매너리즘이 지배적이었던 이전의 플랑드르 화단에 있어서 그 후의 방향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루벤스의 양식을 계승한 요르단스, 프랑스 스나이델스, 피터 브뤼겔의 아들인 얀 브뤼겔 등도 그의 아틀리에에서 성장한 화가였다. 루벤스의 영향권 밖에 있었던 오직 한 사람으로 주목할 만한 작가는 작은 화면 속에 농민 생활의 어두운 측면을 그려간 아드리앙 브라우웰이 있다. 또한 루벤스 그와 견줄 수 있는 사람은 겨우 반 다이크뿐일 것이다. 하지만 18세기가 되어도 루벤스의 영향은 농후하였다.
바로크 미술의 활기는 외향적인 측면에 국한되지 않으며, 내면적으로도 영향력이 컸다. 극적인 사건과 강렬한 감정 상태는 바로크 미술의 주된 구성 요소였지만, 내향적인 장르에서는 친밀감, 섬세함, 고요함 등이 치밀하게 탐구되며 매너리즘에 대항하는 움직임이었던 사조였다.
_ 대표 화가와 주요 작품
위안 반 데르 하멘,1622 <과자와 유리그릇이 있는 정물화>, 디에고 벨라스케스, 1628 <바쿠스의 승리(술꾼들)>, 앤터니 반 다이크, 1639년경 <화가의 아내 마리아 러트벤>, 렘브란트 하멜츠 반 린, 1634 <아르테미시아>, 피터 파울 루벤스, 1636-40년경 <농부들의 춤>
'comma one > 미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상주의 Impressionism (1) | 2024.10.18 |
---|---|
사실주의 Realism (2) | 2024.10.18 |
낭만주의 Romanticism (4) | 2024.10.18 |
로코코 Rococo (0) | 2024.10.18 |
르네상스 Renaissance (1300년대 ~ 1600년대) (2) | 2024.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