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더니즘 Modernism과 아방가르드 Avant-garde
본문 바로가기
  • COMMA _ 쉬어가기
comma one/미술이론

모더니즘 Modernism과 아방가르드 Avant-garde

by parkha81 2024. 10. 21.
반응형

 

 

마르셀 뒤샹, <샘> _ 다다이즘을 대표하는 작품

 

 

미술사적 용어로서의 모던이란 대략 18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시대를 말하며, 이 기간에 탄생한 미술 양식과 현대미술의 철학 이념을 설명할 때  '모더니즘', '모던 아트'라고 현대미술에 관해 논할 때 의도하는 뜻이다. 모더니즘은 아방가르드 미술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흐름을 가리키며 자연주의와 아카데미즘을 거부하고 실험적인 미술을 지향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고 과거와 현재 모두에 대한 진보적인 새로운 태도이다.
모더니즘의 발달에 중요하게 작용한 요인은 전통적으로 교회와 국가, 귀족적인 상류층으로부터 받아오던 재정적 지원이 단절된 상황을 들 수 있다. '미술을 위한 미술'이란 용어는 사회적 또는 종교적으로 정당화할 필요가 없는 실험적 미술을 언급할 때 사용되었는데 이는 화가들이 자본주의적 미술시장을 거부하고 자유를 쟁취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던 용어이다.

 

폴 잭슨 폴록, 1912-1956, 액션페인팅


현대미술은 19세기 중반에 형성되기 시작한 도시화, 산업화, 세속화된 사회와 타협하기 위해 빠른 속도로 새롭게 바뀌는 양식을 뒤섞어 새로운 주제를 표현하였는데, 산업화를 거부하고 원시적인 것을 지향하는 원시주의, 현대성을 받아들이고 이를 찬양, 탐구함으로써 새로운 양식을 조합한 주제를 표현한 미래주의, 순수함이란 회화의 본질인 색채와 평면성을 추구하는 진보적 미술이라고 것이라는 추상미술, 액션 미술, 페미니즘 미술은 샤머니즘적 의식은 현대사회의 세속주의와 물질주의를 배격하는 정신세계를 탐구하였다. 또한 무의식을 창작의 주제로 삼았던 다다이스트, 미술이 감정과 마음의 상태를 추구한다는 표현주의, 무의식을 추구하여 미술로 담아야 한다는 초현실주의, 재현의 본성을 탐구해야 한다고 보는 입체주의, 기계문명과 부르주아 계급의 도덕률을 비판적 태도를 가지고 사회적 역할의 미술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하나의 미술 양식일 뿐 아니라 세계관이기도 한 다다이즘 등 주제에 대한 의견은 서로 다르지만 진리를 발견하고 인간 경험과 예술의 본질적인 성격에 대해서 근본적 해답을 구하는 태도를 목표를 두고 있다는 공동의 태도를 가지고 있다.

아방가르드란 19세기 중반에 활동한 프랑스 화가 중 구스타브 쿠르베와 에두아르 마네는 아카데미 미술의 역사적 사건을 묘사하는 주제를 배격하고 당시 이상 생활 등 사소하며 소소한 모습을 화폭에 담는 데 관심을 기울이며 기성 양식에 대한 반발을 현실성 있는 사실적 묘사로 화폭에 담았다. 이처럼 아방가르드란 문화적인 영역에서의 규범이나 현상의 경계를 허물고자 하는 운동이며 예술, 문화, 사회에 대한 급진적, 실험적이며 비전통적인 작업과 작가 모두를 이르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새로운 미술을 탐구하는 그들의 태도는 '전위'란 의미의 군사 용어에서 따온 '전위 미술', 즉, '아방가르드'로 미술사조 개념이 확립되었다.


아방가르드는 1차 세계대전 중에 생긴 다다이즘에서 시작되어 입체파,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로 이어지면서 유럽에서 일어난 예술운동이었으며 아방가르드 미술가들은 시대를 앞서간다고 평가받기 시작했고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실존주의가 그 역할을 수행했다. 이렇게 특정한 시대의 한계에서 벗어나 역사의 바깥에서 행동할 수 있는 미술가를 아방가르드 미술가로 보는 개념은 현재 대중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져 있다. 
근대 산업화 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새로운 것을 이룩하려 했던 입체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등의 예술 행위를 말하며 그 특징은 모호성, 불확실의 역설과 주체의 붕괴, 비인간화를 들 수 있다. 

 

바실리 바실리예비치 칸딘스키, <구성8>

반응형

'comma one > 미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리 마티스  (3) 2024.10.21
야수주의 Fauvism  (2) 2024.10.21
후기인상주의 Post-Impressicism  (5) 2024.10.21
신인상주의 Neo-Impressionism와 조르주 쇠라  (1) 2024.10.18
인상주의 Impressionism  (1) 2024.10.18

댓글